원통 좌표계(Cylindrical Coordinates)란? 거리, 각도, 높이로 3차원 공간을 표현하는 방법

원통좌표계1

원통 좌표계란 무엇인가? 이번 글에서는 원통 좌표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정의도 상당히 직관적입니다. 우리가 이전에 살펴본 극 좌표계는 데카르트 좌표계의 2차원을 그저 다르게 표현하는 것이었죠. 데카르트 좌표계에서 원통 좌표계로 변환 ​ 원통 좌표계는 데카르트 좌표계의 3차원을 다르게 표현합니다. 데카르트 좌표계에서 2차원은 극 좌표계로 3차원은 원통 좌표계로 변환이 가능하네요. ​ 공통점이 있죠? 각도가 들어간다는 것 ​ … 더 읽기

구면 좌표계란? (Spherical Coordinates) 3차원 공간을 r, θ, φ로 표현하기

구면좌표계2

구면 좌표계란 무엇인가? 이번 글에서는 구면좌표계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 위키피디아 정의에는 그림 없이는 이해할 수 없는 말이 쓰여있네요. 이게 구면 좌표계입니다. 보시면 파리 미터 (변수)가 3개 있는 거 같습니다. 우리는 보통 3차원을 (x, y, z)로 표현합니다. 구면 좌표계의 변수 : 반지름 r, 각도 θ, 각도 φ 하지만 구면 좌표계는 반지름의 길이, 세타와 파이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 더 읽기

극좌표계란? (Polar Coordinates) 거리와 각도로 이해하기

극좌표계1

극좌표계란 무엇인가? 이번 글에서는 극좌표계를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 정의가 웬일인지 직관적입니다.​ 이렇게 2차원 안에서 (x, y) 좌표로 표기하는 것이 아니라 ​ 거리 r + 각도 theta 를 이용하여 표시합니다. ​ 즉, 데카르트 좌표계의 2차원 표기 방법을 그냥 다른 방법으로 표기한 좌표계입니다. ​ 데카르트 좌표계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그래도 직관적이지 않으신 분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데카르트 … 더 읽기

데카르트 좌표계란? (Cartesian Coordinate System) 쉽게 이해하기

3차원 좌표계4

데카르트 좌표계 이름의 유래 이번 글에서는 데카르트 좌표계를 살펴보겠습니다. ​ 그런데, 영어는 C로 시작하는데 왜 데카르트라고 읽는 걸까요? ​ 이 좌표계를 만든 사람이 르네 데카르트인데 라틴어식으로 레나투스 카르테시우스 읽는다고 하네요 (맞나..?) 일단, 위키백과의 정의입니다. ​ 시작부터 유클리드 공간이라는 단어가 인상을 찌푸리게 만듭니다. ​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정의가 너무 어렵습니다. 다른 정의를 볼게요. 2차원 평면 (Plane) … 더 읽기

유클리드 공간(Euclidean Space)이란? 쉽게 이해하는 차원과 공간 개념

3차원 유클리드 공간

유클리드 공간이란 무엇인가? 오늘은 유클리드 공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한글 위키피디아보다는 영어 위키피디아가 내용이 좋은 것 같아 가져왔습니다. ​ 보시면 기하학의 가장 기본적인 공간이고, 실제 물리 세계를 표현한다고 합니다. ​ 유클리드 공간은 유클리드가 연구했던 기하학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거리, 길이, 각도 개념이 있는 공간입니다. ​ 유클리드 n-차원 공간의 개념 여기서 Euclidean n-spaces 라는 말이 나옵니다. 이건 뭘까요? … 더 읽기

Sum Rule (합의 법칙) 완벽 정리: Marginal 확률을 구하는 핵심 원리

결합확률 주변확률 2

Sum Rule이란? 이번 글에서는 Sum rule (합의 법칙)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 우리는 이전에 Joint probability 와 Marginal probability를 살펴봤습니다. Joint probability는 동시에 일어날 확률입니다. 행렬 예시에서는 특정한 행과 열을 가지는 칸을 선택할 확률입니다.​ ​​ ​ Marginal probability는 다른 확률 변수는 무시하는 확률입니다. 행렬 예시에서는 특정한 열을 가지는 칸을 선택할 확률입니다. ​ 행은 신경 쓰지 않습니다. … 더 읽기

Product Rule (곱의 법칙) 완벽 이해: 조건부 확률로 결합 확률 계산하기

예시문제4

Product Rule이란 무엇인가? 이번 글에서는 Product rule (곱 규칙)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식을 먼저 보겠습니다. ​ xi를 뽑는 Marginal probability에 xi를 뽑은 뒤 yi를 뽑는 Conditional probability를 곱하고 있습니다. ​ 이 2가지의 확률이 동시에 발생할 확률 (Joint probability)는 ​Conditional probability x Marginal probability두 확률의 곱하고 동일합니다. ​ 이것이 Product rule (곱 규칙)입니다. 여기서 조건부 확률은 이렇게 … 더 읽기

Conditional Probability(조건부 확률) 쉽게 이해하기: 조건이 주어진 상황에서의 확률

조건부확률

Conditional Probability(조건부 확률)이란? 이번 글에서는 Conditional probability (조건부 확률) 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 Conditional probability는 이미 발생한 어느 event 에서 다른 event 가 일어날 확률 입니다. ​ 설명이 어려운데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열을 선택하는 Event가 이미 일어난 뒤 행을 선택하는 Event 가 일어날 확률입니다. ​ 따라서 하나의 열이 선택됬을 때가능한 경우의 수는 ci = 3 입니다. … 더 읽기

Marginal Probability(주변 확률) 쉽게 이해하기: 단일 사건의 확률 구하기

주변확률 식

Marginal Probability(주변 확률)이란? 이번 글에서는 Marginal probability (주변 확률) 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 Marginal probability는 다른 event의 결과에 상관없이 하나의 event 결과만 만족하는 확률입니다. ​ 하나의 Random Variable만 고려한다는 의미 설명이 어려운데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보시면 오로지 열을 선택하는 Event의 결과만 만족하면 됩니다. ​ Random variable X는 열(Column)의 값입니다. ​ 즉 행(row)의 값은 저희의 고려 대상이 … 더 읽기

Joint Probability(결합 확률) 완전 정복: 예제로 이해하는 다중 사건의 확률

결합확률 1

결합 확률(Joint Probability)이란? 이번 글에서는 Joint probability (결합 확률)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두 개의 Random variable이 동시에 만족하는 확률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Random variable 은 어떠한 event 를 그냥 정의한 것 이라고 했습니다. ​ event 가 2개가 있고 동시에 만족하면 Joint probability 입니다. Joint Probability의 예시 ​ 예시를 보겠습니다. 그림과 같이 Matrix (행렬)이 있습니다. ​ 어떤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