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al Photography 개념 소개
Dual Photography는
광학 및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광원의 위치와 카메라의 위치를
교환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Light Transport Matrix Transpose로 광원-카메라 교환 효과 만들기
우리는 프로젝터로 빛을 쏘고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Light transport matrix 를 구했었습니다.
이것을 Transpose 하면
카메라와 프로젝터의 위치를 변경한
Light transport matrix 가 됩니다.
따라서, 실제로 카메라와 프로젝터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아닌
Light transport matrix 를 구한 후,
Transpose 하여 수식적으로
계산하여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Helmholtz Reciprocity는
광학 및 물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빛의 경로와 반사의 상호성을
설명하는 원리입니다.
이 원리는 Hermann von Helmholtz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빛의 경로와 그 경로의 반대 방향이
동일한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단일 측정에서는 환경적 노이즈나
측정 불확실성으로 인해
정확한 이미지를 얻기 어렵습니다.
빛을 작은 영역으로 나눠서 쏘면,
더 높은 분해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용어 | 의미 설명 |
---|---|
Dual Photography | 광원과 카메라의 위치를 바꾼 것처럼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술 |
Light Transport Matrix | 광원이 쏜 빛이 센서에 도달하는 경로 정보를 담은 행렬 |
Transpose | 카메라와 광원의 역할을 수학적으로 교환함 |
Helmholtz Reciprocity | 빛의 입출력 방향이 바뀌어도 동일한 경로를 따름 |
활용 예 | 가상 시점 렌더링, 비가시 영역 시각화, 컴퓨팅 조명 |
그런 건 난 잘 모르겠고,
Dual Photography는 카메라 위치를
바꾸지 않고도 빛의 경로를 바꿔서
다른 시점 이미지를 만들 수 있는 기술
참고자료
https://graphics.stanford.edu/papers/dual_photogra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