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al Photography란? 카메라와 광원을 바꿔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혁신 기술

1 Dual photography

Dual Photography 개념 소개 Dual Photography는 광학 및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광원의 위치와 카메라의 위치를 교환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Light Transport Matrix Transpose로 광원-카메라 교환 효과 만들기 우리는 프로젝터로 빛을 쏘고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Light transport matrix 를 구했었습니다. ​ 이것을 Transpose 하면 카메라와 프로젝터의 위치를 변경한 Light transport matrix 가 됩니다. ​ … Read more

ToF 에러 : Interreflection과 Phase 모호성 해결을 위한 고주파 Micro ToF 접근법

18 ToF에러

ToF Imaging 개요 및 거리 측정 원리 Depth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ToF imaging 기술에 대해 살펴봤었습니다. ToF 방법으로 예측한 Depth 값에 오차가 발생하는 현상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Time-of-Flight (ToF) Imaging은 빛이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 정보를 얻는 이미징 기술입니다. Interreflection이 초래하는 Depth 측정 오류 ToF 도 결국 빛을 쏴서 센서로 측정하는 기술이므로 ​ 그림과 … Read more

Hyperspectral Imaging 기술 완벽 정리 –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찍는 방법

4 SPD

인간의 시각과 RGB 카메라의 한계 우리의 눈의 망막에서는 small, middle, large cone (원추세포)가 특정 파장의 빛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색을 인식합니다. Hyperspectral Imaging의 원리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는 인간의 시각 시스템을 모방하여 필터를 통하여 빛을 분리하고 감지하여 각 색상의 강도를 기록합니다. ​ 즉, 세 가지 기본 색을 사용해 촬영 순간을 이미지로재현하는 기술입니다. 이번 글의 주제인 … Read more

NLOS Imaging이란? 장애물 뒤 숨은 물체를 찾는 기술

1 NLOS 이미지

Non-Line-of-Sight Imaging의 원리와 활용 Non-Line-of-Sight (NLOS) Imaging은 직선으로 보이지 않는 물체를 감지하고 이미지를 얻는 혁신적인 기술입니다. ​ 이는 벽, 코너, 또는 다른 장애물 뒤에 숨겨진 물체를 시각화 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빛, 음파, 전파 등 다양한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물 뒤에 있는 물체의 위치와 형태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NLOS … Read more

ToF 의 Single Photon Avalanche Diode (SPAD) 기술

ToF 이미징 1 1

ToF(Time of Flight) imaging 기술 이전 글에서 ToF 에 대해서 살펴봤었습니다. ToF(Time of Flight)도 디지털 이미지의 한 종류입니다. 단, 일반적인 RGB 카메라처럼 색과 밝기를 저장하는 이미지가 아니라, 각 픽셀마다 거리(depth) 정보를 저장한 “거리 이미지 (depth map)”를 생성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ToF 카메라가 만들어내는 데이터도 디지털 방식으로 저장되고 처리되므로 디지털 사진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디지털이란? 아래 … Read more

ToF (Time of Flight)란? 빛을 이용한 거리 측정 기술

ToF개념

ToF(Time of Flight)란? 이번 글에서는 ToF (Time of Fligh) 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ToF(Time of Flight) 기술은 신호(빛, 음파, 전파 등)가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 이 기술은 3D 이미징, 거리 측정, 비접촉식 센싱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일반 카메라와 ToF 방식의 차이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카메라는 광원에서 출발한 빛이 어느 길을 통해서 … Read more

ISP(Image Signal Processor)란? 이미지 품질을 결정짓는 비밀 파이프라인

ISP파이프라인

ISP란 무엇인가? 이번 글에서는 ISP(Image Signal Processor) 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ISP 란 센서에서 캡처한 원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여 고품질의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 다양한 알고리즘과 처리 단계를 포함하며, 결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만족스러운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최적화됩니다. 카메라 제조사마다 다른 ISP 카메라를 만드는 회사마다 모두 다른 ISP 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얻는 최종 … Read more

Vignetting(비네팅) 현상: 이미지 가장자리가 어두워지는 이유

비네팅 현상 2

비네팅이란 무엇인가? 이번 글에서는 Vignetting (비네팅) = Vignette problem 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 사전적 정의는 위와 같습니다. ​ 실제 예시를 보면 이해가 직관적입니다. ​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 이 글에서는 광학적 이유에 대해 살펴보려 합니다. 비네팅이 발생하는 광학적 원인 카메라 렌즈는 여러 렌즈를 사용하여 만들게 됩니다. 왼쪽이 우리가 촬영하고자 하는 어떤 장면이고 … Read more

JPEG 압축이란? 이미지 품질은 유지하고 용량은 줄이는 방법

압축 품질 비교 4

JPEG 압축의 개념 이번 글에서는 JPEG Compression (이미지 압축) 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압축은 ISP 의 가장 마지막 단계로, 품질은 최대한 유지하면서 용량의 크기를 줄이는 작업을 말합니다. JPEG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압축은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할 때 널리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 JPEG 압축의 방법 이미지를 더 효과적으로 압축하고 품질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 보통 Gamma correction 을 … Read more

Gamma Correction이란? 감마 보정의 원리와 디스플레이 보정 이유

gamma correction

감마 보정이란 무엇인가? 이번 글에서는 Gamma correction (감마 보정) 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감마 보정은 표준화 된 컬러 공간으로 변환 후, sRGB 로 변환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이전에 살펴본 Tone mapping 도 이미지의 밝기와 색상을 조정하는 비슷한 역활을 합니다. ​ 감마 보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선형적인 밝기 응답을 보정하는 과정입니다. 이미지 센서와 디스플레이의 차이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는 들어오는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