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ne Mapping의 정의
이번 글에서는
Tone Mapping (톤 매핑)
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Tone mapping 이란
Nonlinear Color Manipulation 이라고도 불리며,
실제 세계에서 표현할 수 있는
광대한 범위의 명암을
디스플레이가 표현할 수 있는
제한된 범위로 조절하는 것을 말합니다.
조금 더 자세히 말하면,
톤 매핑은 주로
고동적 범위(High Dynamic Range, HDR) 이미지를
표준 동적 범위(Standard Dynamic Range, SDR) 디스플레이에서
표현할 수 있도록
명암을 조정하는 기술입니다.
ISP 과정에서
표준화된 컬러 공간으로
변환한 후,
톤 매핑을 통하여
최종 디스플레이 특성에
맞게 이미지를 추가
조정하게 됩니다.
주요 방법: Local vs Global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Local Tone Mapping,
Global Tone Mapping
방법이 사용됩니다.

Local Tone Mapping 은
이미지 전체를 한 번에
변환하는 것이 아니라
작은 영역마다 특성을 파악하고
해당 영역에 맞는 조절을 해주어,
디테일을 더 살리게 됩니다.

Global Tone Mapping 은
이미지 전체에 걸쳐 일괄적으로 조정합니다.
그래프의 x 축이 Input intensity (픽셀 강도) 이고
그래프의 y 축이 Output intensity 입니다.
다양한 1D Look up table (그래프와 같은) 들은
각각 장단점을 가집니다.
Local vs Global
구분 | 설명 |
---|---|
Local Tone Mapping | 이미지의 작은 구역마다 다르게 조정, 디테일 보존 효과가 크다. |
Global Tone Mapping | 전체 이미지를 일괄 변환, 간단하지만 디테일 손실 가능성 있음. |
Tone Mapping 요약
항목 | 설명 |
---|---|
정의 | HDR 이미지를 SDR 디스플레이에 맞춰 밝기, 명암 조정하는 기술 |
사용 시점 | Color Space Transform 후, 디스플레이 적용 직전 단계 |
주요 기법 | Local Tone Mapping, Global Tone Mapping |
Local vs Global 특징 | Local: 디테일 강조 / Global: 전체 일괄 조정 |
Tone Mapping Curve | 1D LUT 기반 Input-Output 매핑 그래프 |
그런 건 난 잘 모르겠고,
Tone Mapping은
현실의 넓은 명암 범위를
화면에 맞게 조절해서
이미지를 더 보기 좋게
만드는 기술
참고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