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or Space Transform 개념
이번 글에서는
Color Space Transform (색공간 변환)
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카메라마다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촬영된 이미지가 모두
다르다고 했었습니다.
그래도 우리가 촬영한 이미지를 봤을 때,
같은 것을 찍은 이미지는
어느 정도 동일해야 합니다.
따라서,
표준화 된 Color Space 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전 글에서 Color Mapping 과정 중
먼저 진행하는 White Balance
에 대해서 살펴봤었습니다.

Color Space Transform (CST) 는
White balance 가 완료된 이미지를
표준화 된 Color Space CIE XYZ 로
변환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CST 행렬의 동작 원리

CST 도 이미 카메라 제작 과정에서
공장에서 미리 설정된 값들을
여러개 저장해 둡니다.

CST Matrix 는 White balance 가
진행된 이미지더라도,
촬영할 당시의 주변 빛 환경에
따라 행렬값이 바뀌게 됩니다.
즉, White Balance Matrix 와
상관관계가 있는거죠.

모든 빛 환경에 대응되는
CST 를 저장해 둘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몇 개 정도 저장해두고,
그 사이의 값은 적당히 선형 조합으로
계산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Black body locus 라는 곡선이
CIE color space 안에 있는데,
일단은 단순히 광원의 빛마다
특정한 Color Temperture 를 갖는데
Color Temperture 마다의 색상을
표현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선형 조합으로 특정 색온도의 CST 를
구하긴 하지만,
조합을 위한 가중치 g를 계산할 때,
역수가 들어가기 때문에
그래프와 같이 완전
선형은 아니게 됩니다.
항목 | 설명 |
---|---|
정의 | 촬영 이미지를 표준 색공간(CIE XYZ)으로 변환하는 작업 |
과정 순서 | White Balance → Color Space Transform |
변환 대상 | White balance 이후의 이미지 |
변환 방식 | 공장 사전 저장 CST + 촬영 환경에 따른 가중 조합 계산 |
관련 개념 | Black Body Locus, Color Temperature, Standard Illuminants |
주요 목적 | 조명 조건과 무관하게 통일된 색상 표현 유지 |
그런 건 난 잘 모르겠고,
Color Space Transform은
다양한 빛 환경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표준 색공간(CIE XYZ)으로 맞추는 작업
참고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