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좌표계란 무엇인가?
이번 글에서는 극좌표계를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정의가 웬일인지
직관적입니다.

이렇게 2차원 안에서 (x, y) 좌표로
표기하는 것이 아니라
거리 r + 각도 theta 를 이용하여 표시합니다.
즉, 데카르트 좌표계의
2차원 표기 방법을
그냥 다른 방법으로
표기한 좌표계입니다.
데카르트 좌표계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그래도 직관적이지
않으신 분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데카르트 좌표계와 극좌표계의 차이

점 P의 위치가 (x, y) 가 아니라
(r, theta)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왜 이렇게 쓸까요??
데카르트 좌표계에서 삼각함수로
복잡하게 표기해야 될 때,
극좌표계에서는
간단해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자면, (x, y) 좌표가 (1.47, 1.94)
이런 식으로 정수가
아니라 복잡하고
각도가 (30 도, 60도) 이런 식으로
삼각함수를 계산하기
쉬운 값이 아닐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말이죠.
왼쪽 위에 거리와 각도로
변환해서 표기할 수 있습니다.
그런 건 난 잘 모르겠고,
극좌표계는 (x, y)를
거리와 각도로 바꾼 것
참고자료
아래 출처에 들어가시면
좌표계를 직접
만져볼 수 있습니다.